티스토리 뷰

반응형
728x170

페이커: 돈·명예는 한시적…좋은 영향력 끼치는 사람 되겠다

소개

리그 오브 레전드(LoL) e스포츠의 '전설의 전당' 초대 헌액자가 된 T1의 '페이커' 이상혁이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기념식 기자 간담회에서 자신의 가치관과 앞으로의 목표를 밝혔습니다. 프로 생활 중 많은 굴곡을 겪으며 팬들의 응원을 통해 역경을 이겨내는 과정에서 '의미 있는 선수 생활'을 하고 있음을 느낀다고 말한 페이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페이커의 가치관

페이커는 기자 간담회에서 자신의 가치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돈이나 명예는 한시적이고, 이를 추구하다 보면 더 큰 돈과 명예를 좇을 수밖에 없다고 본다"며 "그보다는 어떻게 하면 좋은 영향력을 끼칠 수 있을까 고민하고 실천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제가 성장하는 과정을 지켜보는 많은 팬도 배움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프로 생활과 성과

페이커는 2013년 처음 프로로 데뷔한 이래 11년째 T1의 미드 라이너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데뷔 첫 해 국제대회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우승을 시작으로 총 4회 롤드컵을 제패했고, 국내리그 LCK도 10회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웠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국내·국제대회 최다 우승자 타이틀을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 2013년 롤드컵 우승
  • 총 4회 롤드컵 우승
  • 국내리그 LCK 10회 우승

 

은사와 동료들에 대한 감사

페이커는 자신의 은사로 현재 T1 감독이자 과거 팀 코치인 '꼬마' 김정균 감독을 꼽았습니다. 페이커는 "데뷔 초부터 함께 활동했고, 행동 하나하나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제가 좋은 선수로 성장할 수 있게 된 자양분이 됐다"고 감사를 표했습니다. 또한, 가장 인상 깊은 동료로는 현재 T1 멤버들을 들며 "오랫동안 같이 했다 보니 정도 많이 들었고, 올해도 함께 많은 업적을 이루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 김정균 감독
  • 현재 T1 멤버들

경쟁과 라이벌

선수 생활의 라이벌을 묻는 말에 페이커는 "누구 하나만을 고르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면서도 "최근 젠지와 T1이 결승전에서 많이 만나고 있다"며 젠지의 미드 라이너 '쵸비' 정지훈을 꼽았습니다. 이는 그의 경쟁심과 끊임없는 도전 정신을 보여줍니다.

 

모범적인 언행과 사회적 책임

페이커는 높은 실력뿐 아니라 선행과 모범적인 언행으로도 많은 찬사를 받아왔습니다. 그는 "어릴 때부터 신중한 성격이라 공인으로 활동하는 게 그렇게 어렵지 않았고, 오히려 잘 맞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요즘 자극적인 매체들이 많고 특히 어린 시청자들은 그런 매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래서 더 절제되고 바람직한 삶을 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T1과의 긴 인연

페이커는 선수 생활 도중 단 한 차례도 이적하지 않고 T1을 지켜왔습니다. 그는 "입단할 때부터 좋은 구단이라 생각했고, 이제 선수가 아니라 일원이 됐다는 느낌이 든다"면서 "LoL e스포츠 판이 변화를 겪으며 이적을 고민하는 순간도 많았지만 여러 가치가 T1과 가장 잘 맞았고, LCK도 전 세계에서 가장 수준이 높은 리그"라며 T1에서 커리어를 지속한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한국 e스포츠의 높은 실력

페이커는 한국이 전 세계 e스포츠 대회에서 보이는 높은 실력에 대해 "우리나라가 게임에 대한 관심도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만큼 예견돼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좋은 선수 풀이 있고, 그런 선수끼리 서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 덕분이라 본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오는 7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리는 e스포츠 월드컵에 대해 "e스포츠가 성장하는 하나의 과정을 목격하는 것 같다. 새로운 대회에 참가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페이커 신전

질의응답에서는 라이엇게임즈가 지난달 말 서울 중구 '하이커 그라운드'에 연 기념 공간 '페이커 신전'도 언급되었습니다. 페이커는 "신전이라는 단어가 부담스럽긴 하지만 어쨌든 가볼 생각"이라며 "많은 분이 거기서 '대상혁(大 + 이상혁) 예배'를 하시던데, 저도 예배 한 번 드리고 오겠다"고 말해 좌중에 웃음을 자아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